[시사픽]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 심의를 통해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보다 6.4% 감소한 6억 5,622만 톤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전년 대비 배출량이 가장 크게 감소한 부문은 발전·열생산으로 3,068만 톤이 줄었으며 도로수송, 기타제조업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에너지 분야 화학산업에서 전년 대비 53만 톤, 농림어업 에너지 소비에서 44만 톤 등 일부 부문에서는 배출량이 증가했다.
에너지 분야의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86.8%에 해당하는 5억 6,992만 톤으로 전년보다 4,165만 톤이 감소했다.
발전·열생산 부문은 전력수요 감소에 따른 발전량 감소와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석탄화력 발전량 감소 등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전년보다 3,068만 톤 줄었다.
제조업·건설업의 배출량은 전년보다 602만 톤이 감소했다.
항목별로는 철강 330만 톤, 기타제조업 338만 톤이 감소한 반면, 화학 53만 톤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수송 부문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유류 소비량이 감소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보다 421만 톤이 감소했다.
가정·상업·공공에서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난방용 도시가스 수요 감소, 연료대체 등으로 인해 배출량이 전년보다 205만 톤이 감소했다.
산업공정 분야 2020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7.4%에 해당하는 4,853만 톤으로 전년보다 7%가 감소했다.
부문별로는 광물산업 부문에서 277만 톤이, 화학산업 부문에서 3만톤이, 금속산업 부문에서 5만 톤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불소계 온실가스는 오존층파괴물질 대체물질 사용과 반도체·액정 생산 항목에서의 소비감소 등으로 전년보다 79만 톤이 감소했다.
농업 분야의 2020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3.2%에 해당하는 2,105만 톤으로 전년보다 9만 톤이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장내발효 15만 톤, 가축분뇨 9만 톤, 농경지토양 5만 톤이 증가한 반면, 벼재배에서 22만톤, 작물잔사소각에서 0.1만 톤이 감소했다.
폐기물 분야의 2020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2.5%에 해당하는 1,673만 톤으로 전년보다 21만 톤이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매립 0.4만 톤, 하폐수처리 7만 톤, 소각 19만 톤이 증가한 반면, 기타부문에서 5만 톤이 감소했다.
‘토지이용, 토지이용변화 및 임업’ 분야의 2020년 흡수량은 3,788만 톤으로 전년대비 166만 톤이 증가했다.
산림지는 전년대비 산림지 면적 감소 둔화, 산불 피해면적 감소 등에 따라 흡수량이 26만 톤이 증가했다.
산림지 이외에서는 초지 부문에서 2만 톤이 흡수됐고 농경지 및 습지 부문에서 각각 283만 톤, 32만 톤이 배출됐다.
국내 6대 온실가스별 비중은 이산화탄소가 91.4%로 가장 높으며 메탄 4.1%, 아산화질소 2.1%, 수소불화탄소 1%, 육불화황 0.8%, 과불화탄소 0.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는 93.5%가 연료연소에서 발생하며 2019년 대비 6.9%가 감소했다.
메탄은 폐기물매립, 벼재배, 장내발효, 탈루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전년보다 0.4%가 줄었다.
아산화질소는 농경지토양, 가축분뇨처리, 연료연소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전년 대비 1%가 감소했다.
수소불화탄소는 냉장고 기기의 냉매제 등 사용 과정에서 과불화탄소는 반도체·액정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육불화황은 반도체·액정 및 중전기기 제작과정 등에서 주로 배출되며 이들 물질의 총배출량은 전년대비 4.9% 감소했다.
국가의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 총생산액 및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 총생산액 10억원 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357톤으로 2019년 378톤에 비해 5.7%가 개선됐다.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12.7톤으로 2019년 13.6톤에 비해 6.5%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이번에 발표한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확정하는 공식 통계로서 2021년 6월 공개한 2020년 잠정치보다 1.2% 높게 산정됐다고 밝혔다.
서흥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8년 이후 2년 연속으로 감소했다”며 “다만, 2021년에는 2020년 대비 배출량 증가가 예상되므로 앞으로 지속적이고 과감한 온실가스 감축 노력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상세자료는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정보마당에서 10월 25일 오후부터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