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11-23 17:25

  • 구름많음속초7.3℃
  • 구름조금9.9℃
  • 맑음철원8.6℃
  • 구름조금동두천9.8℃
  • 맑음파주9.0℃
  • 흐림대관령0.3℃
  • 맑음춘천10.4℃
  • 맑음백령도8.1℃
  • 구름많음북강릉5.7℃
  • 구름많음강릉6.8℃
  • 흐림동해7.6℃
  • 맑음서울10.3℃
  • 맑음인천10.2℃
  • 구름조금원주10.8℃
  • 구름많음울릉도6.4℃
  • 맑음수원10.9℃
  • 구름조금영월8.8℃
  • 맑음충주8.7℃
  • 맑음서산9.8℃
  • 구름조금울진8.1℃
  • 맑음청주11.1℃
  • 맑음대전10.0℃
  • 맑음추풍령8.7℃
  • 구름조금안동10.3℃
  • 맑음상주9.5℃
  • 비포항8.2℃
  • 맑음군산10.1℃
  • 맑음대구10.0℃
  • 맑음전주10.7℃
  • 구름조금울산9.5℃
  • 맑음창원11.3℃
  • 맑음광주10.5℃
  • 맑음부산11.7℃
  • 구름많음통영12.1℃
  • 맑음목포9.2℃
  • 구름많음여수12.4℃
  • 흐림흑산도10.2℃
  • 맑음완도10.6℃
  • 맑음고창8.7℃
  • 구름조금순천9.9℃
  • 맑음홍성(예)10.2℃
  • 맑음10.6℃
  • 흐림제주11.8℃
  • 구름조금고산11.4℃
  • 맑음성산11.1℃
  • 구름조금서귀포14.4℃
  • 구름조금진주10.1℃
  • 맑음강화7.1℃
  • 맑음양평9.9℃
  • 맑음이천9.4℃
  • 구름조금인제8.0℃
  • 구름조금홍천8.7℃
  • 구름많음태백2.8℃
  • 구름조금정선군5.6℃
  • 맑음제천8.4℃
  • 맑음보은10.1℃
  • 맑음천안10.7℃
  • 맑음보령9.9℃
  • 맑음부여10.5℃
  • 맑음금산9.3℃
  • 맑음9.0℃
  • 맑음부안9.4℃
  • 맑음임실9.9℃
  • 맑음정읍9.5℃
  • 맑음남원11.5℃
  • 맑음장수7.5℃
  • 맑음고창군8.8℃
  • 맑음영광군8.6℃
  • 맑음김해시10.8℃
  • 맑음순창군9.5℃
  • 맑음북창원12.7℃
  • 맑음양산시11.3℃
  • 구름조금보성군11.9℃
  • 맑음강진군11.1℃
  • 맑음장흥11.0℃
  • 맑음해남10.2℃
  • 구름많음고흥11.2℃
  • 맑음의령군12.0℃
  • 맑음함양군10.8℃
  • 구름많음광양시11.9℃
  • 구름조금진도군9.5℃
  • 구름많음봉화8.9℃
  • 구름많음영주9.7℃
  • 맑음문경7.5℃
  • 구름조금청송군7.2℃
  • 구름많음영덕7.5℃
  • 구름조금의성10.5℃
  • 구름조금구미8.9℃
  • 맑음영천9.2℃
  • 구름조금경주시8.3℃
  • 맑음거창9.1℃
  • 맑음합천11.3℃
  • 구름조금밀양11.3℃
  • 맑음산청9.1℃
  • 구름많음거제12.0℃
  • 구름많음남해10.9℃
  • 맑음11.8℃
기상청 제공
시사픽 로고
추석 차례상에 숨은 비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추석 차례상에 숨은 비밀

최민호 세종시장의 월요편지 #33

최민호 시장1.jpg
최민호 세종시장

 

[시사픽] 제가 어릴 때였습니다.

날마다 먹는 김치를 왜 차례상에는 올리지 않는가?

의아해서 어른들께 여쭸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때는 이유를 알 수 없었지만 나중에 알고보니
아주 답이 간단했습니다.

예전에 우리 조상들은 예법을 정리한
'가례집람(家禮輯覽)'을 참고하여 차례를 지내왔다고 합니다.

그런데 가례집람을 편찬할 때는
우리나라에 고춧가루가 없었을 때였습니다.

고추는 임진왜란 이후에 들어왔으니까요.

그러니 붉은 배추김치를 올리라는 내용을 기록할 수 없었지요.

그러면 지금도 김치를 차례상에 올리면 안 되는 걸까요?

시대와 음식문화의 변화에 따라 차례상도 변모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요?

그럼에도 대추, 밤, 감, 배(조율시이: 棗栗柹梨)는 왜 꼭 빼놓지 않고 차례상에 올릴까요?

어떤 분은 대추 씨가 하나라 왕을,
밤은 껍질이 세 개라 삼정승을,
감은 씨가 여섯 개라 육판서를 뜻해
벼슬 순서대로 조율시이를 상에 놓는다고 설명합니다.

참 그럴듯하게 들리기도 하지만
차례라 하면 집안의 조상에게 올리는 가정사인데
느닷없는 중앙의 벼슬이 무슨 곡절인가 싶었습니다.

그러다가 어느 날 책을 보고 알았습니다.
차례상 과일은 벼슬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입니다.

대추나무는 암수가 한 그루 쌍을 이뤄
피어나는 꽃마다 열매가 열립니다.
번성하는 자손을 뜻하는 것이요.

밤은 땅에 심으면 싹이나 나무가 되어도
씨가 되는 밤이 썩지 않고 그대로 매달려 있습니다.
근본(조상과 부모님)을 잊지 말라는 뜻입니다.

감나무도 참 희한합니다.
감을 심으면 그 자리에 감 대신 아주 작고 떫은
고욤이 열립니다.

감을 보려면 감나무 가지를 고욤나무에 접붙여야 합니다.
이것은 자녀들에게 좋은 배필을 얻어서 좋은 자손을 두라는
축복의 뜻이 있습니다.

조상들의 통찰력에 감탄이 절로 납니다.

홍동백서, 고기와 나물 등의 차례상 음식도 원칙이야 있겠습니다만, 우리가 보다 집중해야 할 것은 정성된 마음과 전통의 참뜻이 아닐까요?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들의 진정한 뜻은 가족의 번창과 화목일 것입니다.

추석 차례를 "돌아가신 조상을 위해" 지낸다기 보다
"살아있는 자손들의 화목을 위하여" 지내는 의미도 동시에 있는 것일 것입니다.

그러하니 이번 명절에는 '감 놔라 대추 놔라' 하기 보다는
온 가족이 모여 각 가정의 형편에 맞게
조상들에게 감사하며
가족들이 행복한 명절을 지내는 것이 더 실속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직원 여러분.
예년보다 추석 연휴가 길어진 덕분에
말 그대로 '황금' 연휴를 즐기게 됐습니다.

올 한가위에는 가족들의 건강과 행복을 비는 마음이
보름달처럼 크고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 세종특별자치시장 최민호 -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