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04-01 09:23

  • 맑음속초11.2℃
  • 맑음4.4℃
  • 맑음철원4.2℃
  • 맑음동두천6.2℃
  • 구름많음파주5.1℃
  • 맑음대관령5.5℃
  • 맑음춘천4.3℃
  • 맑음백령도9.0℃
  • 맑음북강릉12.9℃
  • 맑음강릉13.5℃
  • 맑음동해13.2℃
  • 박무서울7.7℃
  • 박무인천8.6℃
  • 맑음원주6.9℃
  • 맑음울릉도10.2℃
  • 맑음수원8.2℃
  • 맑음영월4.9℃
  • 맑음충주5.6℃
  • 구름조금서산6.7℃
  • 맑음울진12.4℃
  • 맑음청주6.9℃
  • 맑음대전8.3℃
  • 맑음추풍령8.1℃
  • 맑음안동6.3℃
  • 맑음상주7.0℃
  • 맑음포항10.0℃
  • 구름많음군산7.0℃
  • 맑음대구8.6℃
  • 맑음전주7.3℃
  • 구름많음울산8.7℃
  • 흐림창원8.4℃
  • 맑음광주8.4℃
  • 흐림부산9.6℃
  • 구름많음통영8.2℃
  • 구름조금목포6.8℃
  • 구름많음여수7.6℃
  • 맑음흑산도10.4℃
  • 구름많음완도9.6℃
  • 맑음고창4.9℃
  • 맑음순천5.5℃
  • 박무홍성(예)7.2℃
  • 맑음6.0℃
  • 흐림제주9.9℃
  • 흐림고산9.4℃
  • 흐림성산10.5℃
  • 흐림서귀포12.0℃
  • 구름많음진주5.5℃
  • 구름조금강화6.8℃
  • 맑음양평5.5℃
  • 맑음이천6.3℃
  • 맑음인제3.2℃
  • 맑음홍천3.2℃
  • 맑음태백8.0℃
  • 맑음정선군3.3℃
  • 맑음제천5.7℃
  • 맑음보은4.7℃
  • 맑음천안6.0℃
  • 맑음보령9.2℃
  • 흐림부여3.3℃
  • 맑음금산5.0℃
  • 맑음4.9℃
  • 맑음부안7.5℃
  • 맑음임실5.5℃
  • 맑음정읍7.5℃
  • 맑음남원5.0℃
  • 맑음장수4.2℃
  • 맑음고창군7.0℃
  • 맑음영광군4.8℃
  • 구름많음김해시7.1℃
  • 맑음순창군4.9℃
  • 구름많음북창원8.3℃
  • 구름많음양산시7.5℃
  • 구름조금보성군7.1℃
  • 맑음강진군7.5℃
  • 구름조금장흥6.7℃
  • 맑음해남5.4℃
  • 구름많음고흥7.7℃
  • 구름많음의령군5.5℃
  • 맑음함양군4.8℃
  • 구름많음광양시7.6℃
  • 맑음진도군8.0℃
  • 맑음봉화4.7℃
  • 맑음영주6.2℃
  • 맑음문경7.4℃
  • 맑음청송군5.2℃
  • 맑음영덕12.1℃
  • 맑음의성6.5℃
  • 맑음구미8.8℃
  • 맑음영천6.6℃
  • 구름조금경주시6.9℃
  • 맑음거창4.8℃
  • 맑음합천7.0℃
  • 구름많음밀양6.1℃
  • 맑음산청4.8℃
  • 구름많음거제7.8℃
  • 구름많음남해7.0℃
  • 구름많음7.3℃
기상청 제공
시사픽 로고
먹을 것과 못 먹을 것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먹을 것과 못 먹을 것

최민호 세종시장의 월요편지 #74

1최민호 세종시장.jpg
최민호 세종시장

 

 

[시사픽] - 먹을 것과 못 먹을 것- 


삼복(三伏) 가운데 첫번째에 드는 복날인 초복입니다.


'삼복지간(三伏之間)에는 입술에 붙은 밥알도 무겁다'라고 하지요.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가며 기승을 부리는 요즘 같은 때, 옛날 사람들이 오죽 기력이 바닥을 쳤으면 이런 말을 했을까요. 


선풍기도 에어컨도 없었던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무더위를 이겨냈는지 새삼 궁금하기도 합니다. 무더위 자체를 해결할 수는 없었을 테니 수분과 단백질 보충 등 음식으로부터 보양을 하는 방법을 택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지금은 '보신탕 금지법'으로 개 식용은 역사 속으로 사라질 마당이지만, 과거에는 개장국이라 하여 보신탕을 특별히 여겼습니다. 


보신탕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복날 보신탕을 해야 하는 세 가지 이유가 있었다고 합니다. 


첫째, 빈곤하기만 했던 옛날, 입맛이 없고 기가 허해지는 한여름에 보신탕은 가장 값싼 육류였습니다. 소, 돼지, 닭고기가 귀하던 시절이라 서민이 가장 쉽게 취할 수 있는 단백질원을 찾아냈던 것이지요. 


둘째, 개고기는 육질이 불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소화에 문제가 없고 음식을 조심해야 하는 한여름철에 안성맞춤이라는 분석이 있었습니다. 


셋째는 복(伏)이라는 한자어의 문학적 유희입니다. 복(伏) 글자를 분해해서 보면 사람(⼈)과 개(⽝)가 대등하게 서 있습니다. 인간과 동물이 동등하게 서 있는 한자는 복(伏)자 이외에 별로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이 개를 안 잡아 먹으면 개가 사람을 잡아 먹을지도 모른다는 식자들의 언어유희지요. 


하지만 보신탕을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인간의 비정함입니다. 개처럼 인간에게 충직하고 가깝게 지내는 가축은 없습니다. 또 개를 잡을 때 비위생적이고 도축법상 인정되지 않습니다. 도의적, 법률적으로 굳이 그런 보신탕을 해야 하냐는 의견입니다. 


둘째, 불교적 윤회설에서 볼 때 개는 사람과 가장 가까워서 전생에 사람이었을 개연성이 대단히 높다는 주장입니다. 그러니 불교신자들은 특히 보신탕을 하지 않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셋째, 세계적으로 비문화적으로 보인다는 것입니다. 빈곤했을 때는 불가피했다손 치더라도 경제적으로 선진국 반열에 든 만큼 다른 육류를 취해도 되지 않냐는 것입니다. 


하지만 식문화라는 것은 트렌드이고, '무엇을 먹고, 먹지 않고'의 문제는 문화적 선택일 수 있습니다. 


이슬람의 할랄(Halaal)문화나, 유대인들의 코셔(kosher)는 식재료를 만들어내는 절차가 굉장히 까다로우며, 제대로 준수하지 않으면 먹지도 못하게 되어 있습니다. 과거 아시안게임에서 이슬람권 선두들이 돼지고기를 거부하다 못해, 돼지고기가 담긴 음식마저도 거부한 일화는 유명합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고기와 유제품을 함께 먹지 않는다는 율법이 있습니다. 불고기를 먹은 자리에서 아이스크림이나 밀크가 든 커피를 들지 않는다고 합니다. 까다롭고 엄격한 문화이지만 그렇다고 그 문화가 비판이나 비난의 대상이 되지는 않습니다. 


"소울푸드(soul food)". 

그 나라 사람들의 혼이 담긴 음식이라는 뜻이지요. 대표적으로 미국 남부 흑인들의 프라이드 치킨(fried chicken)이 있습니다. 흑인 노예들이 가난과 고단함 속에서 백인들이 버린 닭고기를 튀겨 먹던 전통음식이 바로 이 프라이드 치킨입니다. 


백인들이 흑인들을 조롱할 때 이 치킨을 먹는 흉내를 내어 인종차별을 했다고도 합니다. 바로 그 노예들의 애환이 담긴 소울푸드는 이제 우리가 좋아하는 치맥, K-food로 진화하여 미국으로 역수출 되고 있습니다. 격세지감을 느끼는 대목입니다. 


이제 3년 후엔 역사 속으로 사라질 테지만 보신탕도 과거 우리 선조들의 소울푸드였음이 분명합니다. 

그렇지만 치맥이 한국을 대표하는 K-food의 대명사가 되었듯이, 할랄푸드가 이슬람권 시장을 공략하는 전략 상품이 되었듯이, 문화적 선택과 트렌드의 변화로 ’무엇이 먹을 것인지 못 먹을 것인지'는 또다시 변할 것입니다. 미래에는 굼벵이나 벌레 같은 곤충을 먹을 수도 있으니까요. 


문화는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가치로 판단할 수 없는 영역입니다. 어떤 입장도 그 나름대로 옳다고 주장하는 바를 이해하는 것, 각 집단의 문화적 배경을 인정하는 자세가 중요하지 않을까요. 


아무튼 여러분, 삼복 무더위가 또다시 찾아왔습니다. 더위에 입맛을 잃었다 하여 밥상을 멀리할 것이 아니라 골고루 영양을 잘 섭취하여 건강한 여름을 보냈으면 합니다. 


- 세종특별자치시장 최민호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