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04-04 10:49

  • 맑음13.1℃
  • 구름조금속초9.9℃
  • 구름조금10.4℃
  • 구름조금철원10.2℃
  • 맑음동두천10.7℃
  • 맑음파주9.5℃
  • 구름조금대관령8.0℃
  • 구름조금춘천9.5℃
  • 박무백령도8.3℃
  • 맑음북강릉11.0℃
  • 맑음강릉11.7℃
  • 맑음동해10.6℃
  • 구름조금서울11.1℃
  • 맑음인천9.5℃
  • 구름조금원주11.7℃
  • 맑음울릉도11.3℃
  • 맑음수원10.3℃
  • 구름조금영월10.5℃
  • 구름조금충주10.0℃
  • 맑음서산10.9℃
  • 맑음울진10.2℃
  • 맑음청주11.3℃
  • 구름조금대전11.9℃
  • 맑음추풍령11.2℃
  • 맑음안동9.2℃
  • 맑음상주11.3℃
  • 구름조금포항12.7℃
  • 맑음군산10.6℃
  • 맑음대구11.7℃
  • 맑음전주12.5℃
  • 맑음울산12.4℃
  • 맑음창원13.1℃
  • 맑음광주11.4℃
  • 맑음부산13.7℃
  • 맑음통영12.0℃
  • 박무목포8.5℃
  • 맑음여수12.5℃
  • 맑음흑산도10.9℃
  • 맑음완도13.0℃
  • 맑음고창10.6℃
  • 맑음순천11.8℃
  • 맑음홍성(예)12.1℃
  • 맑음11.4℃
  • 구름많음제주11.5℃
  • 맑음고산11.4℃
  • 맑음성산13.9℃
  • 구름조금서귀포13.8℃
  • 맑음진주11.6℃
  • 구름조금강화9.6℃
  • 구름조금양평9.2℃
  • 맑음이천10.4℃
  • 구름조금인제8.9℃
  • 구름많음홍천9.3℃
  • 구름조금태백11.2℃
  • 구름조금정선군9.9℃
  • 맑음제천10.0℃
  • 맑음보은11.6℃
  • 맑음천안10.9℃
  • 맑음보령11.7℃
  • 맑음부여11.5℃
  • 맑음금산12.4℃
  • 맑음11.8℃
  • 맑음부안11.6℃
  • 맑음임실11.4℃
  • 맑음정읍11.7℃
  • 맑음남원11.8℃
  • 맑음장수10.8℃
  • 맑음고창군11.8℃
  • 맑음영광군11.1℃
  • 맑음김해시11.9℃
  • 맑음순창군11.5℃
  • 맑음북창원12.8℃
  • 맑음양산시12.9℃
  • 맑음보성군12.7℃
  • 구름조금강진군12.6℃
  • 구름조금장흥11.4℃
  • 맑음해남11.7℃
  • 구름조금고흥13.7℃
  • 맑음의령군12.7℃
  • 맑음함양군12.4℃
  • 맑음광양시13.3℃
  • 맑음진도군10.5℃
  • 맑음봉화9.7℃
  • 맑음영주10.3℃
  • 맑음문경11.8℃
  • 구름조금청송군10.7℃
  • 맑음영덕13.6℃
  • 맑음의성11.0℃
  • 맑음구미13.4℃
  • 맑음영천11.5℃
  • 맑음경주시12.9℃
  • 맑음거창10.5℃
  • 맑음합천12.6℃
  • 맑음밀양11.3℃
  • 맑음산청11.9℃
  • 맑음거제13.3℃
  • 맑음남해10.6℃
  • 맑음13.1℃
  • 구름조금속초9.9℃
기상청 제공
시사픽 로고
일본뇌염 등 매개체 감염병 대응사업 확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보도자료

일본뇌염 등 매개체 감염병 대응사업 확대

도 보환연, 기후변화 따른 감염병매개체 증가에 국내유입 감시 등 대응 강화

충남도청사전경(사진=충남도)

 

[시사픽]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최근 기후변화로 해외 감염병의 국내 유입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대응사업을 확대·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주요 대응 감염병은 일본뇌염 등 모기매개 감염병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등 진드기매개 감염병이다.

먼저, 모기매개 감시사업은 4월부터 10월까지 매주 도내 철새도래지 인근 3개 지점에서 진행한다.

연구원은 모기를 채집해 모기의 종 분류·밀도조사·모기 내 병원체 보유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해외 감염병의 국내유입 감시를 수행할 계획이다.

국내 토착화 감염병인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의 첫 출현 시기와 개체 밀도 추세를 파악하는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사업’은 4월부터 10월까지 매주 2회 도내 축사 1곳 내에 유문등을 설치해 수행한다.

진드기매개 감염병은 기존 참진드기 감시사업과 함께 △도심 공원 대상으로 참진드기 조사 △환자발생 시 거주지 등 감염 예상지점에 대한 참진드기 조사 등을 추가로 실시한다.

SFTS는 치명률이 10-30%로 높아 조기진단이 치료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질병으로 연구원은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한 진단검사가 가능하도록 검사처리 기한을 기존 최대 7일에서 1일로 단축하는 ‘SFTS 응급환자 진단검사 패스트트랙’도 구축했다.

정금희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감염병 매개체 감시와 응급환자 진단검사 패스트트랙은 도민 건강 보호를 위한 필수적인 활동”이라며 “감시체계를 지속 확대하고 도 보건정책과·시군보건소·의료기관과 협력해 선제대응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