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04-04 05:34

  • 맑음속초4.6℃
  • 구름많음1.7℃
  • 맑음철원0.6℃
  • 맑음동두천2.8℃
  • 구름조금파주0.4℃
  • 맑음대관령-3.1℃
  • 구름많음춘천2.6℃
  • 박무백령도4.7℃
  • 구름조금북강릉4.1℃
  • 구름조금강릉5.0℃
  • 맑음동해5.0℃
  • 박무서울6.2℃
  • 박무인천5.9℃
  • 맑음원주3.6℃
  • 구름많음울릉도4.7℃
  • 박무수원3.6℃
  • 맑음영월2.0℃
  • 구름많음충주4.0℃
  • 맑음서산1.2℃
  • 맑음울진7.5℃
  • 연무청주6.8℃
  • 비대전7.2℃
  • 흐림추풍령4.6℃
  • 맑음안동2.9℃
  • 흐림상주3.7℃
  • 맑음포항4.7℃
  • 구름조금군산5.1℃
  • 구름조금대구4.2℃
  • 박무전주6.8℃
  • 맑음울산3.5℃
  • 맑음창원5.4℃
  • 박무광주6.2℃
  • 맑음부산6.6℃
  • 맑음통영5.3℃
  • 안개목포4.9℃
  • 맑음여수7.4℃
  • 박무흑산도4.9℃
  • 구름조금완도3.6℃
  • 맑음고창1.2℃
  • 맑음순천1.8℃
  • 박무홍성(예)4.5℃
  • 구름많음5.5℃
  • 구름많음제주6.9℃
  • 구름조금고산8.4℃
  • 맑음성산6.6℃
  • 구름많음서귀포7.7℃
  • 맑음진주3.3℃
  • 맑음강화3.4℃
  • 맑음양평4.3℃
  • 맑음이천5.0℃
  • 구름많음인제0.6℃
  • 구름많음홍천2.7℃
  • 맑음태백-1.8℃
  • 맑음정선군-0.3℃
  • 구름조금제천0.9℃
  • 구름많음보은3.0℃
  • 구름많음천안3.0℃
  • 맑음보령2.4℃
  • 구름조금부여5.8℃
  • 흐림금산7.0℃
  • 흐림6.1℃
  • 맑음부안3.8℃
  • 맑음임실4.8℃
  • 맑음정읍3.6℃
  • 맑음남원5.3℃
  • 맑음장수5.4℃
  • 맑음고창군2.5℃
  • 맑음영광군1.8℃
  • 맑음김해시4.5℃
  • 맑음순창군3.3℃
  • 맑음북창원5.9℃
  • 맑음양산시3.9℃
  • 맑음보성군3.6℃
  • 맑음강진군2.5℃
  • 구름조금장흥0.5℃
  • 구름조금해남0.2℃
  • 맑음고흥2.5℃
  • 맑음의령군2.4℃
  • 맑음함양군4.7℃
  • 맑음광양시6.7℃
  • 맑음진도군2.3℃
  • 맑음봉화-1.9℃
  • 맑음영주0.2℃
  • 구름많음문경3.1℃
  • 맑음청송군-1.4℃
  • 맑음영덕2.6℃
  • 맑음의성0.6℃
  • 맑음구미3.4℃
  • 맑음영천0.8℃
  • 맑음경주시0.9℃
  • 맑음거창4.2℃
  • 맑음합천3.9℃
  • 맑음밀양4.1℃
  • 맑음산청2.8℃
  • 맑음거제4.8℃
  • 맑음남해5.7℃
  • 맑음3.0℃
기상청 제공
시사픽 로고
공감(共感, Empathy)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감(共感, Empathy)

최민호 세종시장의 월요편지 #43

최민호 시장1.jpg
최민호 세종시장

 

[시사픽] - 공감(共感, Empathy) -


어느 구리 광산에 지진이 나서 산에 크게 진동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멀리 떨어진 한 동네의 종들이 일제히 종소리를 내며 울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그 동네의 종들은 그 광산의 구리로 만들어진 종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우리는 이를 공명(共鳴)이라고 합니다.

공명은 사물이 주파수가 같을 때 같은 주파수로 함께 울리는 것을 말합니다.  


사물이 아닌 인간은 주파수가 같으면 공명이 아닌 공감(共感)을 합니다.

공감은 같이 느낀다는 것입니다. 


공감한다는 것은 이해(理解)한다는 것과는 다릅니다.   


이해가 관객같은 제3자적 관점에서 느끼는 것이라면 공감은 당사자 같은 제1자적 관점에서 느끼는 것입니다. 


이해는 머리로 하는 것이라면 공감은 가슴으로 합니다. 


이해는 이성으로 하는 것이라면 공감은 영혼으로 합니다. 

공감은 제3자의 영혼에 몰입되는 것입니다. 


치지도 않은 종들이 울리는 것은 어쩌면 기적과 같은 일입니다. 

주파수가 완전히 같았기 때문에 그들은 같이 울며 공명했던 것입니다.  

당사자의 속으로 들어가 함께 울고 느끼는 것.  


공명과 공감...


남의 아픔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만, 공감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이해한다는 말을 하는 사람은 많지만, 공감하는 느낌을 갖게 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상대방의 아픔을 통해 내가 아플 때 공감이라 할 것입니다.   


아픔을 단지 이해하고 동정할 뿐, 공감한다는 말은 그리 쉽게 할 말은 아닙니다...


모든 사람이 공통적으로 공명하는 마음의 주파수대가 있습니다.  

이를 공감대라 부릅니다. 


공감대의 영역에 들어섰을 때 영혼은 공명합니다. 


한 종을 치면 멀리 있는 다른 종들도 치지 않아도 저절로 울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영혼을 울립니다.  


예술의 영역에서는 공감대라는 것이 극명하게 나타납니다. 인종도, 이념도, 공간도, 시대도 다른데 공감이 가는 것입니다. 

베토벤의 음악에, 비틀스의 음악에, 레이 찰스의 음악에, BTS에 함께 웃고, 울고, 기뻐하고, 슬퍼하며 공감합니다. 


그런 예술 작품을 우리는 명작이라 하고 고전이라 부릅니다. 

고전이란 시대를 초월하여 공감을 얻는 예술을 말합니다. 


"그 사막에서 그는 너무도 외로워 

때로는 뒷걸음질로 걸었습니다. 

자기 앞에 찍힌 발자국을 보려고..” <오르텅스 블루의 ‘사막’>


이 시를 읽으며 저는 그 외로움에 공감했습니다. 마음이 우리우리 저렸던 것입니다.

외로움에 사무친 그 사막의 나그네와 함께 하고 싶은 충동이 일었습니다. 


연말이 되고 날씨가 추워지면서 그런 나그네를 우리는 주위에서 많이 만나며 보고 있습니다.

겨울이 아니더라도 춥고 외롭고 두렵고 다급한 사람을 우리는 언제든 만납니다. 


그들에 공감하는 일.


행정은 시민의 삶에 공감하는 것입니다...


- 세종특별자치시장 최민호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