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04-04 05:46

  • 맑음속초4.6℃
  • 구름많음1.7℃
  • 맑음철원0.6℃
  • 맑음동두천2.8℃
  • 구름조금파주0.4℃
  • 맑음대관령-3.1℃
  • 구름많음춘천2.6℃
  • 박무백령도4.7℃
  • 구름조금북강릉4.1℃
  • 구름조금강릉5.0℃
  • 맑음동해5.0℃
  • 박무서울6.2℃
  • 박무인천5.9℃
  • 맑음원주3.6℃
  • 구름많음울릉도4.7℃
  • 박무수원3.6℃
  • 맑음영월2.0℃
  • 구름많음충주4.0℃
  • 맑음서산1.2℃
  • 맑음울진7.5℃
  • 연무청주6.8℃
  • 비대전7.2℃
  • 흐림추풍령4.6℃
  • 맑음안동2.9℃
  • 흐림상주3.7℃
  • 맑음포항4.7℃
  • 구름조금군산5.1℃
  • 구름조금대구4.2℃
  • 박무전주6.8℃
  • 맑음울산3.5℃
  • 맑음창원5.4℃
  • 박무광주6.2℃
  • 맑음부산6.6℃
  • 맑음통영5.3℃
  • 안개목포4.9℃
  • 맑음여수7.4℃
  • 박무흑산도4.9℃
  • 구름조금완도3.6℃
  • 맑음고창1.2℃
  • 맑음순천1.8℃
  • 박무홍성(예)4.5℃
  • 구름많음5.5℃
  • 구름많음제주6.9℃
  • 구름조금고산8.4℃
  • 맑음성산6.6℃
  • 구름많음서귀포7.7℃
  • 맑음진주3.3℃
  • 맑음강화3.4℃
  • 맑음양평4.3℃
  • 맑음이천5.0℃
  • 구름많음인제0.6℃
  • 구름많음홍천2.7℃
  • 맑음태백-1.8℃
  • 맑음정선군-0.3℃
  • 구름조금제천0.9℃
  • 구름많음보은3.0℃
  • 구름많음천안3.0℃
  • 맑음보령2.4℃
  • 구름조금부여5.8℃
  • 흐림금산7.0℃
  • 흐림6.1℃
  • 맑음부안3.8℃
  • 맑음임실4.8℃
  • 맑음정읍3.6℃
  • 맑음남원5.3℃
  • 맑음장수5.4℃
  • 맑음고창군2.5℃
  • 맑음영광군1.8℃
  • 맑음김해시4.5℃
  • 맑음순창군3.3℃
  • 맑음북창원5.9℃
  • 맑음양산시3.9℃
  • 맑음보성군3.6℃
  • 맑음강진군2.5℃
  • 구름조금장흥0.5℃
  • 구름조금해남0.2℃
  • 맑음고흥2.5℃
  • 맑음의령군2.4℃
  • 맑음함양군4.7℃
  • 맑음광양시6.7℃
  • 맑음진도군2.3℃
  • 맑음봉화-1.9℃
  • 맑음영주0.2℃
  • 구름많음문경3.1℃
  • 맑음청송군-1.4℃
  • 맑음영덕2.6℃
  • 맑음의성0.6℃
  • 맑음구미3.4℃
  • 맑음영천0.8℃
  • 맑음경주시0.9℃
  • 맑음거창4.2℃
  • 맑음합천3.9℃
  • 맑음밀양4.1℃
  • 맑음산청2.8℃
  • 맑음거제4.8℃
  • 맑음남해5.7℃
  • 맑음3.0℃
기상청 제공
시사픽 로고
숨겨진 34번째 3.1운동 민족대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숨겨진 34번째 3.1운동 민족대표

최민호 세종시장의 월요편지 #55

최민호 세종시장.jpg
최민호 세종시장


[시사픽] - 숨겨진 34번째 3.1운동 민족대표-

3월입니다.
모두가 꽃피는 봄을 기다리는 때입니다.

105년 전 우리의 조상들도 봄을 기다렸습니다.

1919년 3월1일.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문 발표와 이것을 받아 들고 팔각정에 올라선 청년의 외침...
그리고 만백성의 함성...
우리는 이때를 대한민국이 태동한 첫번째 봄이라 말합니다.

민족대표 33인.
그런데 사실은 숨겨진 34번째 인물이 존재합니다.

푸른 눈의 독립운동가.
캐나다인 선교사였던 프랭크 윌리엄스 스코필드(Frank William Schofield).
한국 이름 석호필(⽯虎弼). 돌같이 굳은 마음으로 한국인을 돕겠다는 의미입니다.

이 분은 33인 민족대표들과 함께 거사를 계획했고, 당시 일제의 만행을 글과 사진으로 기록해
캐나다 선교본부에 보고하는 등, 동방의 변방에서 일어난 제국주의의 피비린내 나는 폭압을 널리 알렸
습니다.

잔혹하기 짝이 없었던 제암리 학살, 수촌리 사건의 현장을 분노로 떨리는 손을 부여잡으며 사진으로
남겼고, 3.1운동때 벌어진 참혹한 상황을 1,300매에 걸친 책으로 집필하는 등
그 분이 아니면 사라질 뻔한 진실을 새겨넣었습니다.

'끌 수 없는 불꽃(quenchless fire)'.

사본은 세브란스 병원 지하실에 감춰놓고,
그 원본과 사진 기록을 캐나다로 갖고 돌아가 일본의 제국주의를 고발했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위대한 독립운동을 세계에 알렸습니다.

3.1 운동의 현장을 기록해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로 입증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스코필드 박사의 사진과 증언 기록이 유일하다고 합니다.

어찌보면, 참으로 아찔하기까지 합니다.
이런 기록이 없었다면 어떻게 됐을까요.

한국의 독립운동사는 영영 세상에 알려질 수 없었고
결국 없었던 것이 되었겠지요.

스코필드 박사는 후에 어떻게 됐을까요.

이듬해 캐나다로 추방되어 해방 때까지 한국 땅을 밟지 못했습니다만,
1958년 이승만 정부가 국빈으로 초빙하였습니다.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훈하고 사후에
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으로 모셨습니다.
박사는 돌아가시기 전에 우리 한국인에게 이런 말씀을 남기셨습니다.

"1919년 3.1운동을 이끈 한국인들을 기억하라.
이 말은 내가 오늘의 한국 청년들에게 꼭 해주고 싶은 말이다.

국민은 불의에 항거해야만 하고, 목숨을 버려야만 할 때가 있다."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외국인.
더 넓은 가슴과 뜨거운 인류애로 인간을 사랑한 진짜 한국인이 아닐런지요...

한국을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았던 외국인들은 또 있습니다.
일왕의 폭탄 살해를 시도했던 독립운동가들을 열렬히 변호했던 변호사 후세 다쓰지,
2004년 일본인 최초로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받은 인물입니다.

세종시 부강면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네코 후미코(한국 이름 박문자).
히로히토 왕세자 암살을 기도하여 사형을 선고받고 일본 감옥에서 돌아가셨습니다.

정부는 2018년 건국훈장을 추서했고 그가 살았던 우리 시에서는 추도식을 열고
가네코 후미코 여사의 헌신을 기리기도 하였죠.

헤이그 밀사를 파견한 선교사이자 사학자, 그리고 한글학자 호머 헐버트(Homer Hulbert).
그 분은 건국훈장뿐만이 아니라 2014년 한글날에는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습니다.

국채보상운동의 중심이자 대한매일신보 창간인 영국인 언론인 어니스트 베델(Ernest Bethell).
제암리 사건과 항일 의병의 존재를 사진 기사로 전 세계에 알린 종군기자 프레더릭 매켄지(Frederick
Mckenzie) ...이 분들 모두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받은 분들입니다.

저는 이런 외국인들을 보면서 국민과 인간은 다른 차원의 존재로 살아야 하고
또 보아야 할 때가 있다고 믿습니다. 한 인간을 인간 자체로 보지 않고 국가를 개입시켜 바라본 오류를
범할 때가 많은 것입니다.

독립을 위해 목숨 바친 선열과 이들을 위해 모든 것을 내던진 대한 외국인들...

문득 미국 35대 대통령 존 F.케네디의 말씀이 떠오릅니다.

"국가가 당신을 위하여 무엇을 해줄 것인가를 생각하지 말고,
당신이 국가를 위해서 무엇을 할 것인가를 생각해라".

여러분들은 국가가 바람 앞의 등불처럼 위태로울 때, 무엇을 하시겠습니까.

- 세종특별자치시장 최민호 -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