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04-09 19:53

  • 구름많음15.0℃
  • 구름많음속초9.8℃
  • 비15.2℃
  • 흐림철원12.1℃
  • 흐림동두천12.8℃
  • 흐림파주9.0℃
  • 흐림대관령11.2℃
  • 흐림춘천15.9℃
  • 흐림백령도8.1℃
  • 비북강릉12.9℃
  • 흐림강릉14.7℃
  • 흐림동해11.7℃
  • 비서울14.0℃
  • 천둥번개인천11.2℃
  • 흐림원주14.7℃
  • 흐림울릉도10.0℃
  • 비수원12.4℃
  • 흐림영월16.1℃
  • 구름조금충주14.8℃
  • 구름많음서산12.2℃
  • 흐림울진11.6℃
  • 구름많음청주17.5℃
  • 구름많음대전16.9℃
  • 흐림추풍령16.5℃
  • 흐림안동18.6℃
  • 구름많음상주17.9℃
  • 구름많음포항15.1℃
  • 구름많음군산14.3℃
  • 구름많음대구18.2℃
  • 구름많음전주15.9℃
  • 구름많음울산12.8℃
  • 구름많음창원13.6℃
  • 흐림광주15.9℃
  • 구름많음부산13.8℃
  • 흐림통영14.0℃
  • 구름많음목포14.2℃
  • 흐림여수14.2℃
  • 구름많음흑산도10.2℃
  • 흐림완도13.3℃
  • 구름많음고창13.7℃
  • 흐림순천13.5℃
  • 흐림홍성(예)15.3℃
  • 구름많음17.1℃
  • 흐림제주15.6℃
  • 구름많음고산15.4℃
  • 흐림성산15.7℃
  • 천둥번개서귀포16.2℃
  • 흐림진주14.6℃
  • 흐림강화9.6℃
  • 흐림양평15.6℃
  • 흐림이천14.5℃
  • 구름많음인제14.4℃
  • 흐림홍천16.3℃
  • 흐림태백13.1℃
  • 흐림정선군16.4℃
  • 흐림제천14.8℃
  • 구름많음보은15.9℃
  • 흐림천안15.9℃
  • 흐림보령15.5℃
  • 구름많음부여14.7℃
  • 구름조금금산16.1℃
  • 구름많음15.6℃
  • 구름많음부안14.4℃
  • 구름많음임실13.5℃
  • 구름많음정읍15.8℃
  • 구름많음남원12.8℃
  • 흐림장수12.8℃
  • 구름많음고창군15.0℃
  • 구름많음영광군13.5℃
  • 구름많음김해시13.6℃
  • 구름많음순창군12.0℃
  • 구름많음북창원15.3℃
  • 구름많음양산시15.1℃
  • 흐림보성군14.4℃
  • 흐림강진군15.1℃
  • 흐림장흥14.0℃
  • 흐림해남14.0℃
  • 흐림고흥13.8℃
  • 구름많음의령군17.8℃
  • 흐림함양군14.1℃
  • 흐림광양시14.8℃
  • 구름많음진도군13.0℃
  • 흐림봉화13.9℃
  • 흐림영주17.3℃
  • 구름조금문경16.3℃
  • 구름많음청송군16.1℃
  • 구름많음영덕11.9℃
  • 흐림의성18.8℃
  • 흐림구미18.9℃
  • 구름많음영천17.4℃
  • 구름조금경주시14.9℃
  • 흐림거창0.0℃
  • 흐림합천17.7℃
  • 흐림밀양16.8℃
  • 흐림산청16.4℃
  • 구름많음거제13.8℃
  • 흐림남해14.4℃
  • 구름많음15.0℃
  • 구름많음속초9.8℃
기상청 제공
시사픽 로고
변즉화(變則化)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명우의 세상보기

이명우 대기자.jpg
이명우 대기자

[시사픽] 최민호 세종시장이 송년기자회견에서 내년도 각오를 변즉생, 불변즉사(變則生, 不變則死)라고 밝혔다.

변화를 하면 살고 변화하지 않으면 죽는다는 말이다.

 

말은 쉽게 던질 수 있을는지 몰라도 실로 어려운 말이다. 최 시장의 신년 각오가 12척의 배로 300여척의 적 대함대를 맞아 출정하는 이순신 장군의 살고자하면 죽고 죽고자하면 산다(必生則死, 死則必生)는 말과 맥을 같이하는 것처럼 들린다.

 

하지만 최 시장은 변즉화(變則化), 흔히 변화를 말했다고 생각한다.

 

이 말은 중용 23장에 나오는 말로 공자의 손자인 자사께서 하신 말이다.

중용 23장은 범인이 성인에 이를 수 있는 방법을 일깨우는 장이다.

기차는 치곡이요, 곡능유성이라(其次致曲 曲能有誠) 여기서 기는 중용 22장을 말하고 22장에는 성인의 도가 씌여져 있으며 그 다음 23장은 범인이 성인에 이르는 방법을 말함이다.

 

즉 세상은 수많은 곡(曲)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이들 곡을 모두 채우면 능히 성에 이를 수 있음을 말한다.

 

좀 풀어서 말하자면 흔히 세상 이치의 시작을 사단이라고 하는데 이들 사단의 하나 하나를 채워 나가 마침내 모두를 채우면 능히 성에 이른다는 것이다.

이처럼 성에 이르면 형(形)이 나타나고 형은 또 드러나며(著) 이후 밝아지고(明) 다음엔 움직인다(動). 움직임이 일어나면 변함이 생기고(變) 변함이 생긴 이후 새롭게 탄생한다(化)

 

이를 성즉형(誠則形), 형즉저(形則著), 저즉명(著則明), 명즉동(明則動), 동즉변(動則變), 변즉화(變則化)라하고 유천하지성하면 위능화(唯天下至誠 爲能化)에 이를 수 있다.

 

오직 성에 이르러서야 변화를 능히 이룰 수 있다고 하였다.

 

새해를 맞아 누구나 혁신과 변화를 말한다. 그러나 변화는 노력과 희생이 없이는 도달하기 어려운 경지다. 화(化) 글자를 들여다 보면 산 것(人)과 죽은 것(匕) 공존하는 경지다.

 

얼음이 물이 되고 다시 기화하여 수증기가 됐다면 과학을 알기 전 수증기의 전신이 얼음이라는 사실을 어찌 알 수 있을까? 그처럼 변해서 새로움으로 간다는 것은 상상하기조차 어려운 일이다. 그게 변화요 혁신이다.

 

최 시장이 말한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는 말은 곧 세상의 진리를 알고자 하나 노력하지 않으면 그 결과물을 볼 수 조차 없다는 뜻으로 보인다. 뼈를 깎는 각오로 노력해서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세상을 열어 가길 바란다.

 

세종시가 곡능유성(曲能有誠)을 통해 변즉화(變則化)해서 수도다운 수도로 가는 길을 열어 가도록.

 

세상보기를 다시 연재하며

20여년전 세창이라는 책을 내고 2008년 이후 세상보기 연재를 그만두었는데 이제 지난 경험을 토대로 다시금 세상을 보려 합니다. 독자 제현의 많은 성원과 질타를 기다립니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